사회적 가치 측정
중점사회영역 11개 분야
순번 | 사회영역 | 선정년도 | 세부내용 |
---|---|---|---|
1 | 취약계층 소득증대 | 2020년 | 취약계층 직접고용을 통한 소득 증대 또는 고용연계‧중개 등을 통한 취약계층의 매출 및 소득 증대 |
국내 농업, 축산업, 어업, 임업에 종사하는 가구의 소득증대 | |||
2 | 자원선순환을 통한 폐기물 배출 감소 | 자원 선순환 및 생분해성 원료 활용을 통해 폐기물 배출로 인한 오염 저감 | |
3 | 취약계층 교육‧훈련 접근성 개선 | 2021년 | 취약계층 대상으로 교육컨텐츠 프로그램을 무료‧저가에 제공하여 접근성 개선 |
4 | 건강증진 접근성 개선 | 신체적 건강 증진을 위한 재활‧치료, 인지‧발달치료 및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등 | |
5 | 장애인 보조 제품‧서비스 접근성 개선 | 장애인의 이동 편의 증대 또는 정보습득‧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 접근성 개선 | |
6 | 대기‧수질오염 저감 | 미세먼지 및 대기‧수질오염 저감 등을 통해 환경오염 저감에 기여 | |
7 | 재생에너지 확산을 통한 탄소중립 기여 | 재생에너지 활용을 통해 탄소중립 기여 및 환경오염 저감 | |
8 | 취약계층 돌봄 서비스 접근성 개선 | 2022년 | 취약계층 대상 돌봄 서비스 가격접근성 및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해 서비스 접근성 개선 |
9 | 취약계층 적정 주거 접근성 개선 | 취약계층을 위한 적정 가격 및 양질의 주거서비스 접근성 개선 | |
10 | 기타 환경기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| 에너지 절약 컨설팅, 온실가스 지중저장 등 기타 환경 관련 기술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 | |
11 | 기부⸱사회공헌 실현 | 2024년 | 기업의 수익(금전, 현물 등)을 비영리조직에 지속적으로 기부 |
직접 생산하고 판매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취약계층에게 할인된 가격 또는 무료로 제공 | |||
크라우드펀딩을 통해 공익사업을 위한 모금 또는 거래에 기여 |
사회적 가치 측정 이란?
사회적 가치 정의
* KSVM : Kibo Social Value Measurement
사회적 가치 측정 대상
사회적 가치 측정 산식
정량적 지표인 사회적 성과 변화량(Depth), 규모(Scale), 측정 대상 기간을 바탕으로 화폐금액으로 사회적 가치 도출